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<P>통합 KT의 출범으로 ‘통신 대전’ 시대가 도래했다. </P> <P>직원 3만8000명, 매출 19조 원, 자산 24조 원대의 거대 통합 통신사업자인 <BR>KT는 유·무선 결합과 방송통신 융합 등 컨버전스 흐름에 맞춰 통신시장의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.</P> <P>이동통신시장 우위를 줄곧 SK텔레콤에 내줬던 <BR>KT는 KTF와 마케팅·네트워크 통합을 계기로 이통시장의 판도마저 바꿀 태세다. </P> <P>KT는 이번 통합으로 유선전화와 KTF의 이동전화 간 상호접속료 절감 등 <BR>평균 3000억 원 가량의 경비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. <BR>요금 경쟁력도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.</P> <P>이에 따라 가장 먼저 예상되는 것은 치열한 요금 인하 경쟁이다. </P> <P>KT는 출범 하루 만인 지난 2일 기존의 결합상품보다 할인혜택을 <BR>더욱 강화한 유·무선 결합 ‘쿡 & 쇼(QOOK&SHOW)’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. </P> <P>KT는 상품별 할인율이 복잡한 인터넷, 집전화 등 유선상품 요금구조를 정액형으로 개편한다. <BR>한결 간단하면서도 할인혜택을 넓힌 것이 특징이다. <BR>또 합병으로 통합된 KT 가입자 4200만 명이 최대 50%의 통화료를 <BR>할인받을 수 있도록 망내 할인을 강화한다. </P> <P>이와 함께 분야별 선도업체와 제휴해 요금할인보다 큰 가치의 생활서비스 혜택을 패키지 형태로 제공한다. <BR>중소기업 할인 혜택도 강화한다. <BR>사업주의 통신요금 외 직원 간 유무선 통화료를 최대 50%까지 할인받을 수 있는 <BR>중소기업용(SOHO) 결합상품을 7월부터 선보인다.</P> <P>KT의 결합상품 공세에 잔뜩 긴장한 SK와 LG 계열 통신사들도 <BR>통신요금 인하 대책과 새로운 결합상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. </P> <P>시장점유율 50.5%를 고수하겠다고 선언한 <BR>SK텔레콤은 할인혜택을 강화한 요금제와 새로운 결합상품을 1일부터 선보이고 있다. </P> <P>2일에는 SK브로드밴드가 할인경쟁의 바통을 이어받았다. <BR>SK브로드밴드는 기본료 무료 혜택과 T밴드 결합상품 확대 등 <BR>경제적 혜택을 앞세워 브로드앤인터넷전화 서비스 가입자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알렸다.</P> <P>앞서 ‘세이브요금제’ 등 다양한 통신요금 절감대책을 제시한 LG텔레콤도 조만간 요금 경쟁에 뛰어들 태세다. <BR>LG데이콤은 3일 공공기관, 기업, 협회, 교회, 동호회 등이 보유하고 있는 <BR>특정 콘텐츠를 인터넷TV(IPTV)를 통해 일반가입자들과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<BR>마이 LGtv 홈채널’ 서비스를 경쟁사 대비 최저 30%에서 최고 50%까지 저렴하게 내놓겠다고 밝혔다. </P> <P>이처럼 결합상품을 둘러싼 전쟁이 시작된 현시점, <BR>SKT를 대표로 하는 경쟁사들은 생존을 위해 할인율을 높인 결합상품을 내놓거나 <BR>경품 제공을 내거는 등 통신 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다. </P> <P>통신시장 과열경쟁의 주체가 KT라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이석채 회장은 <BR>"시장과열 주체가 KT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그간 약속해왔으며 <BR>이는 고객에게도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”며 <BR>“만약 KT가 이 같은 무분별한 경쟁에 뛰어들었으면 그만큼의 1분기 실적은 나오지도 않았다”고 반박했다.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<BR> </P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